2010년 1월 22일 금요일

영문 리눅스에서 한글이 되게 하 법

원본 http://www.hwangji.kr/sub/dev_leader/link/os/default.aspx?NHBBSID=NHBoardWebTip&NHBBSIDX=26


[Linux] 영문 리눅스에서 한글이 되게 하 법

0_ko_KR.utf8.tar(1259520byte)

0_libgtk-x11.tar.gz(1106101byte)


(2009년 3월 재작성, 4월 재작성)

USB에 가벼운 리눅스를 담아서 이동형 OS로 쓰려다보니 Puppy Linux가 좋더군요. 아래 예는 Puppy Linux를 설치하면서 해결해 본 과정입니다. 기종이 다르더라도 기본룰은 비슷합니다. 컴파일러는 devx_xxx.sfs라는 파일에 애드온처럼 포함이 되어있습니다.

먼저 퍼피리눅스는 기본적으로 한글을 지원해주지 않기때문에 모든 것이 수작업되어야 합니다. 아래와 같이 따라해 보시면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. 아무쪼록 도움되시길 바랍니다.

Puppy Linux HomePage: http://www.puppylinux.org/

시디,하드,USB 어느쪽이든 이미 기본 설치는 하셨다고 보고 오직 한글이 정상적으로 입출력 및 마운트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.
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한글 보이도록 하기(마운트 포함)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
***** 로케일(locale)을 먼저 변경하기 ******
1. 먼저 자신의 리눅스(/usr/lib/locale)에서 'ko_KR.utf8'디렉토리를 복사하여 Puppy Linux의 '/usr/lib/locale'로 붙여넣기 합니다.
(기존 리눅스 사용자가 아니시라면 첨부파일을 다운받아 풀어놓고 같은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 *주의 하실점은 tar푸실 때 FAT영역에 푸시면 일부분이 소문자로 되므로 반드시 /usr/lib/locale/안에서 작업하세요^^)
2. Menu -> Desktop -> Chooselocale country localisation 을 실행하여 Local을 실행한 후 1번에서 복사한 ko_KR.utf8을 선택합니다.
3. xwin이 재시작되면서 로케일이 변경되었을 겁니다. (확인을 위해서는 rxvt콘솔을 시작하여 locale이라고 쳐보세요. 에러문장 없이 LANG=ko_KR.utf8....처럼 나오면 성공한 겁니다.)


***** 한글폰트 설치하기 *****
'/usr/share/fonts/default/TTF'안에다가 트루타입 글꼴을 복사해주면 됩니다.(MS윈도우것을 가져와도 되고 공개용 폰트를 설치하셔도 됩니다. 이것만 하셔도 한글보기는 가능해집니다.)


***** NTFS을 마운트할 때 한글이 안보이는 현상 해결법 *****
'/usr/local/bin/drive_all'의 내용에서 아래 1과 같은 부분을 찾아내어 2처럼 변경해줍니다.
1.
ntfs)
#'mount' is a script that takes care of mounting ntfs...
mount -t ntfs /dev/$ONEDRVNAME /mnt/$ONEDRVNAME
2.
ntfs)
#'mount' is a script that takes care of mounting ntfs...
mount -o ntfs-3g /dev/$ONEDRVNAME /mnt/$ONEDRVNAME

'~/.pup_event'에 안에 있는 'drive_*'을 모두 지워주고 xserver를 재시작 해주면 한글이 아주 잘보이게 됩니다.



***** USB메모리(FAT##)를 마운트했을 때 한글이 깨져보이는 현상 해결법 *****
'/usr/local/bin/drive_all'의 내용에서 아래 1과 같은 부분을 찾아내어 2처럼 변경해줍니다.
1.
vfat)
mount -t vfat -o shortname=mixed,quiet /dev/$ONEDRVNAME /mnt/$ONEDRVNAME #v411
2.
vfat)
mount -t vfat -o shortname=mixed,iocharset=utf8,codepage=932,quiet /dev/$ONEDRVNAME /mnt/$ONEDRVNAME #v411

'~/.pup_event'에 안에 있는 'drive_*'을 모두 지워주고 xserver를 재시작 해주면 한글이 아주 잘보이게 됩니다.


***** 삼바 마운트했을 때 한글이 보이게 연결하기 *****
예제:
mount -t cifs -o username=createall,password=xxxx,iocharset=utf8,cp949 //192.168.1.12/backup /mnt/msdos


***** 윈도 시스템 전반적인 한글 깨지는 현상 해결하기 *****
'~/.jwmrc'파일 내에서 아래와 같은 사항을 찾아서 설치된 한글 폰트명으로 변경합니다.
//윈도우 기본 글꼴변경
DejaVu Sans-12
3
......

//이곳은 메뉴 글꼴변경
...
//팝업창 메뉴 글꼴변경
...
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한글 입력엔진 설치하기
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*

***** 한글입력엔진을 설치하지 않고 쓰는 방법(편법용) *****

http://aim.anj.kr/같은 곳에 접속하여 텍스트박스에 입력 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는 방법으로써 제일 간단히 해결할 수 있지만, 매번 복사하고 붙여넣기라는 입장 난처한 상황에 놓입니다.


***** 한글입력엔진 설치하여 편안하게 쓰는 방법(기본용) *****
4.20으로 버전이 바뀌면서 의외성 결과가 나와서 펫을 안쓰고 컴파일 위주로 설명합니다.
소스 버전에 따라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 알 수 없으니 초보이실 경우 왠만하면 같은 버전을 구해서 실행하세요^^

소스 구하는 곳:
scim http://sourceforge.net/project/showfiles.php?group_id=108454
libhangule http://kldp.net/frs/?group_id=362

특별한 말이 없을 땐, 컴파일 기본 명령 순서는 다음과 같이 하는 것으로 합니다.
1) ./configure --prefix=/usr
2) make
3) make install

1단계:
scim-1.4.7.tar.gz을 구해서 설치합니다.

2단계:
scim-bridge-0.4.15.tar.gz을 구해서 설치합니다.

* 'scim-bridge'은 'configure' 옵션을 다음과 같이합니다.
./configure --prefix=/usr --disable-qt3-immodule
make
make install

* 다음 '/etc/gtk-2.0/gtk.immodules'파일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첨부하세요.(주의: 따옴표도 함께 첨부입니다)

"/usr/lib/gtk-2.0/immodules/im-scim-bridge.so"
"scim-bridge" "SCIM Bridge Input Method" "" "" ""

* 다음 '~/.xinitrc'파일 내 상단 적당한 자리에 아래와 같은 내용을 첨부하세요.
export GTK_IM_MODULE="scim-bridge"
export QT_IM_MODULE="scim-bridge"


3단계:
libhangul-0.0.9.tar.gz을 구해서 설치합니다.

4단계:
scim-hangul-0.3.2.tar.gz을 구해서 설치합니다.


5단계:
scim-setup을 실행하면 '입력기엔진>전체설정>한국어,기타'라는 리스트가 보일겁니다. 만일 '기타'하나만 보이면 매우 잘못된겁니다.^^ 또한 '입력기엔진>한글'이라는 것도 보여야합니다.
'./configure'할 때 '--prefix=/usr'옵션을 안주면 한글라이브러리를 못찾아서 그렇습니다.
(알고나면 아무것도 아닌데, 이부분 때문에 갈팡질팡 엄청 삽질을 했습니다.)

6단계:(4.20일 경우 버그 해소)
4.12는 안해도 되는데 4.20에서는 한글 단축키가 안되는 버그가 있습니다. 4.12의 파일을 상단의 첨부파일(libgtk-x11-2.0.so.0.1200.1) 또는 4.12에서 추출하셔서 4.20의 '/usr/lib/'안에 덮어쓰시고 깔끔하게 재부팅 해주세요.

참고:
자신의 옵션에 맞게 단축키를 변경한 후 저장하고 수동 재시작 하시려면 'scim -d'로 데몬에 올려서 사용합니다.


마무리단계: ^^
험난한 삽질을 또 하시지 않으시려면 반드시 기본 설치 후 백업본 하나 만들어 둡시다 ^^
이정도까지만 진행하면 거의 한글화 완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시간나면 펫도 하나 맹글어 볼까요?

** 참고로 rxvt 터미널에서는 한글이 안먹힙니다. 예전에 한텀같은 것을 써보신 분이시라면 이해하실 듯 합니다. 잘 설치 되었는지는 Geany같은 메모장이나 기타 워드프로그램 및 웹브라우져에서 시험해보세요.^^ rxvt에서도 누가 시간 되시면 패치한번 해주세요.

아뭏든 버전에 따라 다양한 변수가 생길 수 있는 것이 리눅스이므로 뭘 설치해야하는지만 알면서 그때 그때 해결해나가는 지혜가 필요하겠습니다 ^^

퍼피 리눅스 설치

퍼피 리눅스 설치

원본URL : http://joogunking.tistory.com/228#Koreanweb


공식 홈페이지 : http://puppylinux.org/
최신 버전 다운로드 ed2k 링크 : 퍼피 리눅스 Puppy Linux pup-431.iso

한글폰트 : 네이버 나눔체 http://hangeul.naver.com/share.nhn

퍼피 리눅스는 리눅스의 가벼운 배포판 소개하는 글들에 서 빠지지 않는 OS로 설치 이미지가 200메가밖에 되지 않습니다. .

여기서 하나 소개시켜드릴 유틸리티가 Unetbootin입 니다. USB에 리눅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인데 사용법도 쉽고, 윈도우 CD영역 만드는 프로그램에서 드라이버가 없어 사용할 수 없는 싸구려 USB에도 문제없이 설치해주더군요. 저처럼 가상머신을 별로 좋아하지 않으시는 분들은 이를 이용해 USB에 리눅스를 설치해서 사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. 다운로드는 http://unetbootin.sourceforge.net/ 입니다.

설정이 필요없는 퍼피 리눅스

웹브라우저는 물론 설치되어 있으며 플래시도 설치되어 있어 다운로드가 필요없습니다.
동영상 플레이어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Xvid코덱이 설치되어 있으며 워드 프로세서, 일정 관리, 메일 프로그램 등 일일이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 있습니다.
심지어는 윈도우에서 사용하던 NTFS 포맷 하드 디스크도 자동으로 인식해줍니다.

추가 설정도 터미널 없이 간편하게..

설정이 다 되어있다고는 하지만 외국에서 만들어진 만큼 한글 관련 설정이 되어 있지 않습니다.
한글 관련 자료가 잘 없는 퍼피 리눅스이지만 다행히 쉽고 자세하게 설명된 글이 있어서 한글 보기관련 설정은 정말 간단했습니다. 물론 모든 설정이 되어 있는 우분투에 비할바는 아니지만요.^^.

아래 링크에 가시면 한글 설정 입력에 관해 알 수 있습니다.
http://www.hwangji.kr/sub/dev_leader/link/os/default.aspx?NHBBSID=NHBoardWebTip&NHBBSIDX=26
http://comm-prog.springnote.com/pages/3959497

***** 웹브라우저 한글 보기 *****
퍼피리눅스의 파일 관리자를 열어서 /usr/share/fonts/default/TTF 경로에 한글폰트 복사.

파일 관리자를 열면 경로가 보이지 않는데 백스페이스를 한번 눌러서 상위 폴더로 가면 보입니다.

***** NTFS을 마운트할 때 한글이 안보이는 현상 해결법 *****
'/usr/local/bin/drive_all'의 내용에서 아래 1과 같은 부분을 찾아내어 2처럼 변경해줍니다.
(마우스 오른쪽 클릭해서 텍스트로 열기를 누르면 됩니다.)
1.
ntfs)
#'mount' is a script that takes care of mounting ntfs...
mount -t ntfs /dev/$ONEDRVNAME /mnt/$ONEDRVNAME
2.
ntfs)
#'mount' is a script that takes care of mounting ntfs...
mount -o ntfs-3g /dev/$ONEDRVNAME /mnt/$ONEDRVNAME

'~/.pup_event'에 안에 있는 'drive_*'을 모두 지워주고 xserver를 재시작 해주면 한글이 아주 잘보이게 됩니다.
출처 : http://www.hwangji.kr/sub/dev_leader/link/os/default.aspx?NHBBSID=NHBoardWebTip&NHBBSIDX=26

이렇게 설정해주면 하드에 저장된 노래, 동영상 보기, 인터넷 정도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.

***** FireFox 설치 *****

파이어폭스를 설치하면 더욱 좋은데 이또한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.

다음 링크를 참조하세요. 영문이라도 쉽게 설명되어 있습니다.
퍼피 리눅스 파이어폭스 설치하기 : http://www.murga-linux.com/puppy/viewtopic.php?t=46390

<<참고 링크>>
http://mar.gar.in/joogunking/GNU

한글화에 필요한 파일은 여기에 다있음

http://122.102.213.192/puppy/upup/upup476cjk2/

참고-Grub 설정 by 고구마

Grub 설정 고구마


# http://athene20.dothome.co.kr

#

# 공식 메뉴 리스트

# Last Update : 2009.11.03


timeout 30

default 0

splashimage /SPLASH.XPM.GZ

fontfile /HANGUL.FNT.GZ


title Boot from HardDisk\n *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디스크로 부팅합니다.

find --ignore-floppies --ignore-cd /ATHENE20 || rootnoverify (hd0,0)

find --ignore-floppies --ignore-cd /ATHENE20 || chainloader +1

find --ignore-floppies --ignore-cd /ATHENE20 || boot

rootnoverify (hd1,0)

map (hd0) (hd1)

map (hd1) (hd0)

chainloader +1


title Universal Windows PE (Automatic Mode Selection, Uniprocessor)\n * 부팅 매체에 따라서 Boot-Kicker Mode나 Normal Mode가 자동 선택됩니다.\n * 멀티코어를 지원하지 않습니다.\n * CD이외의 매체에서 부팅시에는 부팅 장치에 맞는 Disk Signature, MBR Checksum\n * 패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.

find --set-root --ignore-floppies --ignore-cd /CHAINBOOTPE.IMG.GZ && map --mem --read-only /CHAINBOOTPE.IMG.GZ (hd0)

map --hook || default 0

chainloader (hd0,0)/IUPE/SETUPLDR.BIN || default 0

chainloader (cd)/IUPE/SETUPLDR.BIN || default 0


title Universal Windows PE (Automatic Mode Selection, Multiprocessor)\n * 부팅 매체에 따라서 Boot-Kicker Mode나 Normal Mode가 자동 선택됩니다.\n * 멀티코어를 지원합니다.\n * CD이외의 매체에서 부팅시에는 부팅 장치에 맞는 Disk Signature, MBR Checksum\n * 패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.

find --set-root --ignore-floppies --ignore-cd /CHAINBOOTPE.IMG.GZ && map --mem --read-only /CHAINBOOTPE.IMG.GZ (hd0)

map --hook || default 0

chainloader (hd0,0)/IUPE/SETUPLD2.BIN || default 0

chainloader (cd)/IUPE/SETUPLD2.BIN || default 0


title Hiren's BootCD\n * Hiren's BootCD로 부팅합니다.

find --set-root --ignore-floppies /HBCD/BOOT.GZ && map --mem /HBCD/BOOT.GZ (fd0)

map --hook || default 0

chainloader (fd0)+1 || default 0

rootnoverify (fd0) || default 0


title Mini Windows XP\n * Mini Windows XP로 부팅합니다.

find --set-root --ignore-floppies /HBCD/XPLOADER.BIN || default 0

chainloader /HBCD/XPLOADER.BIN || default 0


title Windows Memory Diagnostic\n * Windows Memory Diagnostic를 실행합니다.\n * 메모리 이상 여부를 검사할 수 있습니다.

find --set-root --ignore-floppies /HBCD/MEMTEST.GZ && map --mem /HBCD/MEMTEST.GZ (fd0)

map --hook || default 0

chainloader (fd0)+1 || default 0

rootnoverify (fd0) || default 0


title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default 0


title Enable USB 2.0 Mode (Using PLoP Boot Manager)\n * USB 2.0미지원 메인보드에서 USB 2.0모드를 활성화시킵니다.\n * 반드시 USB장치에서만 실행하시기 바랍니다.\n * 대부분의 경우 이 메뉴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.\n * 이 메뉴 사용시 Universal Windows PE로 부팅이 불가능합니다.

find --set-root --ignore-floppies --ignore-cd /PLPBT.BIN || configfile /MENU.LST

kernel /PLPBT.BIN


title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default 0


title Restart your Computer\n * 재부팅합니다.\n\n\n * GOOD BYE.

reboot

Puppy Linux CJK 설치하기

  • Puppy Linux CJK 설치하기
  • upup-476cjk2 subforum을 참조하여 순서대로 설치한다.
    • Install upup-476 (위의 Puppy Linux 설치 과정 참조)
    • replace initrd.gz to 'initrd-upup476utf8r2.gz'(rename to 'initrd.gz').
      • --> 기존의 initrd.gz를 보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.
      • -> 바탕화면의 Console을 눌러 실행
      • $ cd /mnt/home
      • $ mv initrd.gz initrd.orig.gz
      • $ cp initrd-upup476utf8r2.gz initrd.gz
    • 재부팅 {메뉴의 Shutdown에 Reboot Computer 명령이 있다.}
    • 위 화면의 관련 pet들을 설치한다. pet 들을 먼저 다운로드 받은 후, 바탕 화면의 file을 선택하여, 클릭하면 설치된다.
      * utf8_mount-upup476-2.pet
      * scim-1.4.7-0.476.0.1.pet
      * desktops_cjk-upup476-1.pet
      * lang_support_??-upup476-0.2.pet
      ... you can install all 3(zh,ja,ko) together if you like.

seamoney는 웹브라우저이기 때문에 설치해야 할 걸요?

    • 메뉴의 Menu > Desktop > Chooselocale country localisation를 실행하여
    • locale을 'ko_KR'로 설정하고, encoding에 'UTF_8'을 설정한다.
  • Restart X
  • Once more, restart X
    • 한번 실행해서 잘 안된다. ㅋㅋ
  • Start up 'browse' or 'edit'
  • Press [Ctrl] + [Space], then SCIM shall be usable.
  • 이때 scim으로 한글을 입력할 경우, 항상 종성이 채워지는 문제가 발생함.
    • 예; 한겨례 -> 한결ㅖ
    • 바탕화면의 install 프로그램을 실행하여, Puppy Package Manager 실행
    • 화면 좌측 하단의 Find: 에 libhangul과 scim-hangul을 입력한 후 검색 버튼을 누르고, 선택하면 설치된다.
      • libhangul과 scim-hangul 을 설치
    • 트레이 화면의 scim 환경설정에서 추가한 한글 (회색 한 아이콘) 입력 IME 선택
    • IME와 관련된 설정은 한글 모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이용하여 SCIM 환경 설정을 이용하여 설정한다. (자세한 내용은 패스..)
  • SeaMonkey를 사용하던 중, 한글 입력단계에서 자꾸만 커서가 SeaMonkey의 상태바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그럴 경우 Edit>Preferences에서Advanced>Keyboard Navigation에서 "Find As You Type" 기능을 해제하기 바랍니다.